4대보험 계산, 쉽게 알려드릴게요!
4대보험은 건강보험, 국민연금, 고용보험, 산업재해보험을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. 직장에 다니는 모든 근로자는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이죠.
4대보험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?
- 소득 월액: 우선, 근로자의 월급에서 비과세 소득 등을 제외한 금액을 구합니다. 이를 ‘소득 월액’이라고 합니다.
- 보험료율: 각 보험마다 정해진 보험료율을 소득 월액에 곱하면 보험료가 산출됩니다. 보험료율은 정부에서 정하며, 매년 변경될 수 있습니다.
- 부담 비율: 보험료는 일반적으로 근로자와 회사가 나눠서 부담합니다. 다만, 산업재해보험은 회사가 전액 부담합니다.
예를 들어볼까요?
- 건강보험: 소득 월액에 건강보험료율을 곱하고, 여기에 장기요양보험료를 더하면 건강보험료가 나옵니다.
- 국민연금: 소득 월액에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곱하고, 이를 근로자와 회사가 반씩 부담합니다.
- 고용보험: 소득 월액에 고용보험료율을 곱하고, 근로자와 회사가 나눠서 부담합니다.
- 산업재해보험: 회사에서 사업장의 위험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된 보험료율을 적용하여 보험료를 냅니다.
4대보험 계산은 왜 중요할까요?
- 내가 부담하는 보험료 확인: 내가 얼마만큼의 보험료를 내는지 알 수 있습니다.
- 퇴직금 산정 기준: 퇴직금 산정 시 4대보험료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각종 혜택 확인: 4대보험에 가입하면 질병, 상해, 노령 등에 대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